본문 바로가기
CS/디지털논리회로

1.디지털의 이해

by sh.lee 2023. 1. 23.

디지털(digital)이란

연속적 실수가 아닌, 특정한 최소 단위를 갖는 이 산적(離散的)인 수치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

 

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차이

디지털은 완벽한 구분되는 0,1로 구성되는 2진수로 사용

 

정 논리(Positive logic) / 부 논리(negative logic)

 

실제 펄스 파형 

- 실제 디지털은 시간에 따른 함수로 표현

 

주기 펄스 파형 T1 = T2 = T3 '''''' = Tn

-디지털 신호의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

◦ 주기, 주파수, 듀티비 

- 주기(period : T) : 어떤 일정한 간격으로 그 파형을 반복 하는 것 (단위, sec(초))

- 주파수(frequency : f ) : 한 주기의 반복율 (단위 헤르츠 (hertz : Hz))

 - 펄스파형의 주파수는 주기의 역수로서, 주파수와 주기 사 이의 관계

 

 - 1Hz = 1sec(1초), 1kHz=1msec(1밀리 초)=0.001sec

 

- 듀티비 는 주기(T)에 대한 펄스폭(tw)비의 백분비 로 정의

 

수의 체계

- 10진수, 2진수 8 진수, 16진수 

 

- 8진수

 디지털 시스템이나 계산기 등에서 2진수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려고 많이 사용.

 자릿수는 0, 1, 2, 3, 4, 5, 6, 7을 사용하며 자리값은 8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냄.

 8진수 237.54(8)의 각 자리값을 나타내며, 8진수를 10 진수로 변환하려면 각 자릿수와 각 자리값을 곱하여 더 함.

 

 

-16진수 

 디지털 시스템에서 2진수 4비트를 간소화하여 효율적 으로 표기하는데 사용함.

 자릿수는 10 개의 10진 숫자와 6 개의 영문자를 사용 하여 16 가지의 숫자와 문자로 구성.

 숫자는 0 ~ 9, 문자는 A~ F까지 사용, 자리값은 16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냄.

16진수 1B3C(16)를 10진수로 변환하려면 각 자릿수와 자리값을 곱하여 더하면 됨

 

진수 간 상호변환

 

디지털의 크기

비트(bit) : 컴퓨터는 2진수(binary digits)를 처리한다. 비트는 0 혹은 1, 또는 오프 (off) 혹은 온(on)이 될 수 있다.

 바이트(byte) : 1바이트는 8비트다. 예) 11110010

 킬로바이트(KB) : 1KB는 1024바이트다. 따라서 1KB는 1024x8인 8192비트다. 스마트폰, 태블릿, PC의 가장 작 은 파일 저장 단위는 보통 4KB이다.

 메가바이트(MB) : 1024KB는 1MB와 같다.

 기가바이트(GB) : 1024MB는 1GB와 같다.

 테라바이트(TB) : 1024GB는 1TB와 같다

 

 

디지털의 코드

가중코드 : 비트의 자리값이 일정한 코드

 

BCD 코드 -> 4비트에 대해서만 적용